본문 바로가기

기술자료/기술운영자료

Windows 기본공유 제거 시스템의 기본공유 항목이 제거되지 않게 되면 모든 시스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디렉토리 공유를 제거하며, 불필요한 공유라고 판단되면 공유를 해제하는 것이 필요 합니다. (하드디스크 디폴트 공유 폴더 예: C$, D$, Admin$ 등) ※ 공유제거 방법 1. 컴퓨터 관리 >공유폴더 >공유 -> 해당공유폴더 확인 >속성 >공유중지 2. 서버 재부팅 후 디폴트 폴더 자동 공유 방지법 (1) regedit.exe를 실행 (2) 레지스트리를 수정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LanmanServer\Parameters (3) 설정 값 입력 아래 그림과 같이 AutoShareServer를 입력, 이때 값.. 더보기
귀사에 가장 적합한 라이선스는 무엇입니까? 블로그>[vagabond] | vagab0nd http://blog.naver.com/realnaut/120192909378귀사에 가장 적합한 라이선스는 무엇입니까?출처 : 마이크로소프트 더보기
Windows Releases 메모리 제한 블로그>[vagabond] | vagab0nd http://blog.naver.com/realnaut/120192719252 VersionLimit on X86Limit on X64Limit on IA64Windows Server 2012Windows Server 2012 Datacenter 4 TB Windows Server 2012 Standard 4 TB Windows Server 2012 Essentials 64 GB Windows Server 2012 Foundation 32 GB Windows Storage Server 2012 Workgroup 32 GB Windows Storage Server 2012 Standard 4 TB Hyper-V Server 2012 4 TB Windows 8W.. 더보기
LVS(Linux Virtual Server) 1. 개요 A. 리눅스 가상 서버(LVS) - 한대의 서버로 증가하는 인터넷 사용자를 처리하기가 힘들어 지면서 고 가용성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 리눅스 머신을 로드 밸런스 하도록 해주는 운영 시스템 만약 하나의 노드에서 처리량이 너무 많아서 서비스가 불가능 할 경우 간단히 하나의 노드를 병렬 구성으로 추가함으로써 부하분산을 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B. 참고사이트 - http://linuxvirtualserver.org 2. 설치 A. 설치환경 - ipvsadm 을 이용한 설치 - Direct routing 방식으로 진행 - LVS Server : CentOS 6.4 64bit / IP : 192.168.2.113 / VIP : 192.168.2.110 Real Server1 : CentOS 6.4 64.. 더보기
DRBD를 이용한 HA Cluster 구축 DRBD를 이용한 HA Cluster 구축 HA Cluster (High AvailabilityCluster) 엔터프라이즈 컴퓨팅 환경에서 1년 중 시스템의 정지시간이수분에서 한시간 이내의 무정지 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주는 클러스터 사용 목적일반적으로 Fault Tolerance 시스템과는 달리 보편적인 하드웨어, 네트워크장비, 스토리지, UPS 등으로구성되며 서비스의 예정된 중단 혹은 불시의 중단에 의한 Downtime을 최소화 하여,서비스 중단으로 인한 비용 손실의 최소화 DRBD (Distributed Replicated BlockDevice) HA cluster 구축 하기 위해 디자인된 블럭 디바이스 이다. 이 방식은 Network Raid-1으로 동작을하게 된다. Raid-1의 일반적인 구성은 데.. 더보기
리눅스 OS 성능 개선 Tips 리눅스 OS 성능 개선 Tips Open source를 모토로 제작된 리눅스는 관리자의 노력 여하에 따라 아주 많은 부분을 관리자의 개인 성향, 용도에 맞게 설정이 가능합니다. 오늘은 그 중에 아주 기본적인 하드웨어 모니터링 및 기초적인 tune up 등을 다뤄보기로 하겠습니다. 1. 성능분석 A. CPU 점검 -uptime 첫번째 Load average의 3개 수치 1, 5, 15분 동안 활성화 되었던 프로세스들 부하의 평균수치 -top 시스템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들의 실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전반적인 상황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첫번째 행 Top 유틸리티 이름 시스템의 현재 시간 시스템이 부팅된 후에 운영시간 현재 로그인 수 최근 1분,5분,15분 각각의 시스템 평균부하율 (평.. 더보기
리눅스 보안설정 리눅스 보안설정 1. 보안업체나 벤더사에서 보안관련 패치가 발표되면 바로바로 패치해 주는 것이 가장 좋은 보안이자 예방 방안 입니다. - RedHat Linux 계열 - KrCERT/CC 보안권고문 (보안취약점 정보와 조치방법 등의 정보를 한국어로 신속하게 확인가능) 운영체제와 주요 공격대상이 되는 서비스나 웹 어플리케이션, 커널 등은 최신의 안정버전으로 유지 될 수 있도록 관리 필요 합니다. [ yum 활용 자동업데이트 ] - rpm의 헤더정보를 비교하여 업데이트하고 의존성 문제 자동 해결 - 자신의 서버환경에 적합성 여부 확인 필수 2. 해당 시스템에 꼭 필요한 네트워크서비스만 제공 - 시스템 설치 시 필요한 패키지만 선택하여 설치하고,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는 찾아 중지시키는 것이 보안상 바람직합니다.. 더보기
yum을 통한 리눅스 패키지 설치 블로그>뜨바...일이 점점 커지네...쌍!~ | 밤톨아빠 http://blog.naver.com/eukyworld/60185706849OS설치시 아무생각없이 ok or next를 누루고 필요한 패키지를 선택후 설치하여야하는데 그냥 넘겨버리는 일이 발생하곤 한다 yum을 이용하여 미설치된 패키지를 확인 및 설치하는 방법에대하여 기록한다 yum grouplist 위명령어는 설치된 패키지나 설치 가능한 패키지를 보여준다 yum groupinfo "패키지명" 해당패키지에 포함되어있는 프로그램을 보여준다 yum groupinstall "패키지명" 해당패키지를 설치하는 명령어이다 패키지는 반드시 영문으로 넣어야한다 대소문자 띄어쓰기도 완벽해야한다 가끔 언어셋이 한글로 되어있는경우 grouplist에서 패키지명이 한.. 더보기
RHEL 계열 Linux 데몬과 프로세스 관리 데몬(Daemon)이란 백그라운드로 실행되어 있다가 클라이언트의 여러가지 요청에 응답하여 서비스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동작하는 서버 프로그램 입니다. 데몬에는 아파치처럼 단독으로 실행되는 것이 있는 반면에 데몬의 여러가지 서비스들을 한꺼번에 관리하는 슈퍼데몬이 있습니다. 리눅스 서버를 운용함에 있어서 서버 자원을 이용하여 서비스하는 데몬 관리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 입니다. 이번 문서에서는 리눅스 서버에서 많이 쓰이는 데몬 종류와 그 쓰임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리눅스 서버에서 자주 쓰이는 데몬명과 설명 (RHEL, CentOS 기준) 데몬명 설명 Network Manager 자동으로 최대 사용 가능한 연결에 네트워크 연결을 스위칭 acpid 커널로부터 ACPID 이벤트를 받아서 처리 .. 더보기
CentOS 4.x yum 이용하기 RHEL 4의 생산이 중지됨에 따라 CentOS 4에 대한 지원도 중단되게 되었습니다. 참고사이트 : https://access.redhat.com/support/policy/updates/errata/ 같은 커널을 이용하는 CentOS 4.x도 역시 같은 상황일 수 밖에 없습니다. *CentOS 4의 마지막 버전인 4.9는 아래 사이트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http://vault.centos.org/4.9 국내에는 아직 많은 시스템들이 CentOS 4 기반에서 운영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 설정을 유지한 상태에서는 패키지 관리자인 yum을 사용하게 되면 에러메시지 출력과 함께 사용할 수가 없는데요 이 부분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 관리자들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파일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