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몬(Daemon)이란 백그라운드로 실행되어 있다가 클라이언트의 여러가지 요청에 응답하여 서비스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동작하는 서버 프로그램 입니다.
데몬에는 아파치처럼 단독으로 실행되는 것이 있는 반면에 데몬의 여러가지 서비스들을 한꺼번에 관리하는 슈퍼데몬이 있습니다.
리눅스 서버를 운용함에 있어서 서버 자원을 이용하여 서비스하는 데몬 관리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 입니다.
이번 문서에서는 리눅스 서버에서 많이 쓰이는 데몬 종류와 그 쓰임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리눅스 서버에서 자주 쓰이는 데몬명과 설명 (RHEL, CentOS 기준)
데몬명
| 설명
|
Network Manager
| 자동으로 최대 사용 가능한 연결에 네트워크 연결을 스위칭
|
acpid
| 커널로부터 ACPID 이벤트를 받아서 처리
|
anacron
| downtime까지 남겨진 cron 작업을 실행
|
apmd
|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 및 기록(syslog(8))
|
atd
| 백그라운드 작업을 수행하거나 예약 명령을 처리
|
autofs
| 서버의 파일을 읽을 때 자동으로 마운트 수행
|
crond
| 리눅스에 등록된 명령어를 정기적으로 수행
|
diskdump
| 시스템 충돌이나 diskdump 모듈 초기화시 덤프파일 저장
|
echo
| echo의 캐릭터 값을 클라이언트로 전송
|
eklogin
| Kebelos 5를 이용하여 암오화 시키는 데몬
|
gpm
| 텍스트기반의 리눅스 어플리케이션에 마우스 서포트
|
gssftp
| Kerberized ftp 서버 케베로스 5를 이용하여 암호화
|
haldeamon
| 소스로부터 하드웨어에 대한 정보를 모으고 유지
|
iptables
| 리눅스 방화벽 iptables 데몬
|
irqbalance
| 프린터 작업 분배
|
idsn
| ISDN 서비스 설정
|
klogin
| Kebelos 5 인증, dsd타입 rlogin 세션 설정
|
kudzu
| 하드웨어 검색 데몬
|
mdmonitor
| RAID 모니터링과 관리 담당
|
mdmpd
| 다중 경로 디바이스 모니터링과 관리
|
messagebus
| 시스템 이벤트나 다른 메시지를 알려주는 역할
|
netdump
| netconsol과 netcrashdump 요소들을 초기화
|
netfs
| NFS, SMB/CIFS, NCP 등을 마운트/언마운트
|
netplugd
| Non-static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관리
|
network
| 부팅시 모드 설정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
nfs
| tcp에서 파일공유, 리눅스에서 nfs 서버를 운영시 사용
|
nfslock
| nfs서버 운용시 다수 사용자들의 접근을 방지할 때 사용
|
NTPD
| ntp V4 데몬, 시간 동기화시 사용
|
portmap
| RPC 연결관리 데몬(NFS, NIS)
|
psacct
|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을 시작/ 중지시 사용
|
rawdevices
| raw 디바이스를 블록 디바이트에 맵핑
|
rpcgssd
| 유저레벨 데몬 시작, NFSv4 클라이언트를 위하여 RPCSEC 관리
|
rpcidmapd
| 유저레벨 데몬, 유저 uid와 gid값을 매핑
|
rsync
| 동기화시 사용되는 데몬
|
saslauthd
| 인증된 요청을 핸들링하는 데몬
|
sendmail
| 메일서버 데몬
|
smartd
| 자가 모니터링과 리포트 기능
|
snmpd
| 단순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 데몬
|
snmptrapd
| snmpd trap 데몬
|
sshd
| open-ssh 데몬
|
syslog
| 로그 데몬
|
time
| RFC 868 타임 서버 데몬
|
uncserver
| uncserver 설정
|
winbind
| SAMBA winbind 데몬
|
xfs
| X-window 폰트 데몬
|
xinetd
| 슈퍼 데몬 각종 서비스를 관리
|
ypbind
| NIS 데몬
|
2. 프로세스 작동 상황 알아보기
ps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명령어 중 하나이며 프로세스의 상태 확인용으로 사용
별도의 옵션 없이 사용시 현재 사용자가 실행시킨 프로세스만을 출력
-e : 모든 프로세스 표시
-f : 전체 경로로 프로세스 표시
* ps -ef는 많이 쓰는 옵션 조합입니다. 숙지하시면 서버 관리시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응용하면 아래와 같이 조합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
#ps -ef | grep | 프로세스명 | wc -l
현재 실행되고 있는 특정 프로세스의 갯수 확인
pstree
현재 실행중인 데몬 현황 확인
ps 명령어와 마찬가지로 옵션을 활용하여 더 자세한 확인도 가능합니다
3. 각종 데몬 관리 명령어
ntsysv
부팅시 실행되는 데몬 설정
chkconfig
부팅시 런레벨에 따른 실행 데몬 설정
옵션
--level : 적용할 런레벨 선택
--add : 데몬 추가
--del : 데몬 삭제
--list : 현재 실행중인 데몬 목록 출력
service
실행중인 데몬 설정
옵션
start : 시작
stop : 중지
restart : 재시작
status : 상태 보기
원활한 프로세스 및 데몬 관리는
한정된 서버 자원을 조금 더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각종 서버 장애 및 침해사고 대응에 보다 빠른 접근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습니다.
보다 능숙한 관리자가 되기 위해 도움이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기술자료 > 기술운영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보안설정 (0) | 2016.03.20 |
---|---|
yum을 통한 리눅스 패키지 설치 (0) | 2016.03.20 |
CentOS 4.x yum 이용하기 (0) | 2016.03.20 |
windows 터미널 포트 변경 파일 (0) | 2016.03.20 |
SSH 보안설정 (0) | 2016.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