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log.naver.com/realnaut/120153805468
DFS 설정
(Distributed File System)
다수의 서버에 분산된 공유 폴더들을 묶을 수 있게 하고, 네임스페이스라는 폴더의 가상 트리에 배치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합니다.
네임스페이스는 데이터 가용성 증가, 데이터 이전의 간소화 같은 다양한 이점이 있습니다.
* 네임스페이스 : 공유 폴더에 대한 가상 보기를 의미(폴더는 다양한 위치에 있지만, 사용자에게는 단일 트리로 보임)
* 파일에 대한 체크아웃과 합침기능은 안됩니다.
(두명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파일을 수정하려고 한다면, DFS 복제는 충돌 해결 방법으로 파일의 가장 최근에 수정된 사본을 보관하는 방법을 이용합니다.)
네임스페이스 유형
- 독립 실행형 네임스페이스
- 도메인 기반 네임스페이스
Server 1(AD DC) 에 파일서비스, DFS 역할 추가
Server 2 에서 Server 1으로 member join (각 서버들에서 동일하게 실행)
확인
새 네임스페이스 생성
새 폴더 생성
각 서버별로 폴더 생성(반복적으로 진행)
포폴로지 선택 - 용도에 따라 설정
완료 및 확인
'기술자료 > 기술운영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서버 세션 초과로 터미널 접속이 안될때 세션 끊는 방법 (0) | 2016.03.20 |
---|---|
modsecurity 설치 메뉴얼 (0) | 2016.03.20 |
리눅스 네트워크 본딩... (0) | 2016.03.20 |
dovecot 서비스 시작이 되지 않을때 (0) | 2016.03.20 |
리눅스 HDD 추가 장착 (0) | 2016.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