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술자료/기술운영자료

리눅스 HDD 추가 장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2274006b.gi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2pixel, 세로 17pixel 블로그>[vagabond] | vagab0nd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2274006c.gi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2pixel, 세로 17pixel http://blog.naver.com/realnaut/120152424308

1. 서버에 하드 추가 후 OS 부팅시 하드가 올라오는지 확인한다.

 

2. 현재구성 확인

2-1. vi /etc/fstab을 열어 ext2, ext3, ext4인지 판단 (ext4 경우 e4fsprogs 패키지 설치)

2-2. fdisk -l

 

3. fdisk로 파티션을 잡는다.

3-1. fdisk /dev/hdb (IDE 하드인 경우)

3-2. fdisk /dev/sdb (SATA 하드인 경우)

3-3. fdisk /dev/cciss/c0d1 (HP서버 smart array controller 경우) <- 부팅시 new logical volume 설정해주어야함 

Command action

   a   toggle a bootable flag

   b   edit bsd disklabel

   c   toggle the dos compatibility flag

   d   delete a partition

   l   list known partition types

   m   print this menu

   n   add a new partition

   o   create a new empty DOS partition table

   p   print the partition table

   q   quit without saving changes

   s   create a new empty Sun disklabel

   t   change a partition's system id

   u   change display/entry units

   v   verify the partition table

   w   write table to disk and exit

   x   extra functionality (experts only)

Command (m for help):

3-2. p로 기존 파티션이 잡혀있는지 확인한다.

3-3. d로 기존 파티션이 잡혀있으면 삭제후 p로 확인한다.

3-4. n으로 파티션 추가- >p(primary로) -> 1 -> 크기지정 default 1 입력(Full로 잡을시, 디폴트가 Full) -> 엔터

3-5. w로 쓴다.

 

4. format

ext4 : mkfs.ext4 /dev/c0d1p1

ext3 : mkfs.ext3 /dev/hdb or sdb or c0d1p1(파티션나누엇다면 c0d1p1,c0d1p2 등으로 포멧)

ext2 : mkfs.ext2 /dev/hdb

 

5. 마운트할 디렉토리 생성

mkdir home2

 

6. mount

mount /dev/hdb /home2

 

7. fstab 수정 (vi /etc/fstab)

ex)

/dev/hdb /home2 ext3 defaults 1 2 (파일시스템에 맞춰서)

 

8. df -h로 마운트 확인

 

9. 재부팅후 이상없이 올라온후 마운트 되었는지 확인

[출처] 리눅스 HDD 추가 장착|작성자 에이원네트웍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