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술자료/기술운영자료

독립.. 그리고 공유..

A모 기업에 다니는 김 모씨(27세). 
그는 요즘 서버가상화 관련 공부를 하고 있다. 김 모씨의 말에 의하면, 서버가상화를 이용하는 가장 큰 장점은 비용 절감과 OS간 독립성이 보장되며 자원의 공유도 가능 한다. 단일 시스템상에서 윈도우나 리눅스 등 각기 다른 OS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 비용 절감 및 서버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가상화의 정의

"물리적인 컴퓨터 리소스의 특징을 다른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최종 사용자들이 자원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으로부터 감추는 기술"로 정의할 수 있다. 이것은 다중 논리 리소스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처럼 보이는 서버,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또는 저장장치와 같은 하나의 단일 물리적 자원을 만들어 낸다. 아니면 단일 논리적 자원처럼 보이는 저장장치나 서버와 같은 여러 개의 물리적 지원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가상화는 자원의 공유, 단일화, 에뮬레이션 그리고 절연이라는 4가지 기본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아래 그림은 가상화의 기능별 종류 및 이에 따르는 사례들을 보여주고 있다.

  

 

 

 

1) 공유(Sharing)

 가장 대표적인 가상화의 기능으로서 다수의 많은 가상 자원들이 하나의 동일한 물리적 자원과 연결되어 있거나 가리키는 것을 말한다. 물리적 자원의 일부분을 가상화된 자원마다 할당하거나 혹은 물리적 자원에 대하여 타임 쉐어링 기법으로 공유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형태의 가상화는 가상화 자원을 사용하는 여러 사용자들(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이 물리적 자원을 공유하게 해주며, 이때 각 사용자는 마치 자기가 해당 자원을 혼자서만 사용하는 것과 같은 착각을 하게 된다. 대표적 사례로는 서버 내의 논리적 분할, 가상머신(VM), 가상 디스크, 가상 LAN(VLANs)을 들 수 있다.

 

2) 단일화(Aggregation)

 공유의 반대되는 가상화 개념으로서, 가상 자원은 여러 개의 물리적 자원들에 걸쳐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외견상 전체 용량을 증가시키고 전체적인 관점에서 활용과 관리를 단순화시켜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 가상화는 여러 개의 물리적 디스크 시스템에 남아있는 각각의 유휴 디스크들을 하나의 가상화된 디스크로 만들어 주는데, 이때 가상화된 디스크는 가상 디스크를 만드는데 사용 되어진 어떤 물리적 디스크보다도 더 커질 수 있다


3) 에뮬레이션(Emulation)

 물리적 자원 자체에는 원래부터 존재하지 않았지만 가상 자원에는 어떤 기능들이나 특성들을 마치 처음부터 존재했던 것처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IP 네트워크 상에서 가상 SCSI 버스를 구현하는 iSCSI 또는 물리적 디스크 스토리지상에 구현된 가상 테이프 스토리지 등이 여기에 속한다. 또 다른 형태의 에뮬레이션에는 여러 개의 제각기 다른 물리적 자원들을 표준 구성요소 형태인 것처럼 가상 자원으로 표시하는 것이 있다. 여러 종류의 이더넷(Ethernet) 인터페이스를 마치 하나의 특정한 표준 이더넷 인터페이스 모델로 나타내는 것이 그 예이다.


4) 절연 (Insulation)

 가상화된 자원들과 물리적 자원들간의 상호 맵핑은 가상화 자원들 또는 가상화 자원들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물리적 자원들이 교체될 수 있도록 해준다 . 이것은 투명한 변경(Transparent Change)이라고 불리우며, 투명한 변경은 가상화에 있어서 하나의 부가적인 혜택이기도 하지만, 때때로 그 자체가 하나의 기술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기도 한다. 어떤 가상 프로세서가 결함이 발생하였거나 혹은 곧 발생하려는 물리적 프로세서에서 다른 정상적인 물리적 프로세서로 자동적으로 옮겨간다거나, 디스크의 결함을 사용자들로부터 숨기기 위해 다중디스크(Redundant Disk)를 사용하는 RAID 스토리지 컨트롤러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달리 말해 장애 방지(Failure Proof)의 효과라고 볼 수 있다.

 

- 출처 : http://kiyoo.tistory.com/26 -

 

=====================================================================================================================

 

가상화를 이용하면 기존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자원의 사용을 극대화할 수 있지만, 이 기술은 양날의 검과도 같다. 그만큼 보안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여러 OS가 설치고 또한 그에 따르는 어플리케이션들이 설치되므로 자연스레 보안에 취약할 수 밖에 없다.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기 전에 그 기술에 대해 충분히 숙지하고, 보안에 신경써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