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A(한국인터넷진흥원, 원장 서종렬)는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웹서버 악성코드(이하 ‘웹쉘’) 피해를 예방하고 민간 보안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웹쉘 탐지기술을 보안기업과 공유한다고 8일 밝혔다.
‘웹쉘(WebShell)’이란, 악성 URL 삽입, 데이터베이스 정보 유출, 홈페이지 변조, 스팸메일 발송 등 심각한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악성 프로그램으로, 최근 몇 년간 해킹당한 웹서버 중 90% 이상에서 발견될 정도로 많은 피해를 입히는 해킹도구이다.
KISA는 웹쉘에 대한 침해사고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 2008년부터 웹쉘을 탐지할 수 있는 ‘휘슬(WHISTL)’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해오고 있다. 이번에 제공하는 기술은 그동안 KISA가 침해사고에 직접 대응하며 축적한 웹쉘 샘플들과 현재 ‘휘슬’ 프로그램에 탑재되어 있는 웹쉘 탐지패턴이다.
이를 통해 보안기업은 웹쉘 탐지를 확대하고 패턴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어, 향후 웹쉘 공격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예방이 가능하고, 탐지능력이 한층 강화된 제품을 시장에 보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종렬 KISA 원장은 “이번 정보 공유를 통해, 그동안 소수만이 참여하고 있던 웹쉘 탐지 솔루션 개발 분야에 다양한 민간기업이 참여해 보안시장이 활성화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 KISA는 웹보안 관련 기술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보안시장 활성화와 침해사고 예방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웹쉘 공유를 원하는 민간기업은 웹보안서비스 사이트(toolbox.krcert.or.kr, 툴박스)에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용어 설명]
o 웹쉘 : 웹서버를 악의적으로 제어하여 악성 URL 삽입, 데이터베이스 정보 유출, 홈페이지 변조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악성코드
o 탐지패턴 : 웹쉘을 탐지할 수 있는 시그너처(정책)
o 휘슬 : 웹쉘 해킹도구를 탐지하는 웹서버 설치형 프로그램
==========================================================================================
KISA 에서 배포중인 휘슬을 이용하여 웹쉘 유입패턴과 소스 분석이 가능하며, 해당 감염 파일을 KISA 측으로
송부하여 신고하는 기능을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보안은 운영하는 관리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주의가 필요할 것입니다.
'기술자료 > 기술운영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도스(DDoS) 사이버대피소 안내 (0) | 2016.03.12 |
---|---|
HP ProLiant Generation 8 발표 "차별화된 자동화 서버 시장 선도" (0) | 2016.03.12 |
Windows 8 앱 개발자 지원 프로그램 (0) | 2016.03.12 |
소프트웨어 웹 방화벽이란? (0) | 2016.03.12 |
[관심경보발령] 국가공공기관 사이버위기 관심 경보 발령 (0) | 2016.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