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stemd 개념정리
*참고기사
'리눅스 대문 전쟁'... 우분투 패배 인정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40217092543
하단 포스트 읽기 전에 기존 init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경우 다음 URL 참고 바랍니다.
http://chiccoder.tistory.com/42
기존 init 을 대체하여 만들어진 프로그램.
부팅시 띄워야 하는 서비스의 수를 최대한으로 줄이고 서비스간 의존성을 없애서(서비스를 병렬로 실행)
부팅 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실제로 매우 빠릅니다.
여기서 의존성이란 단순 패키지간 dependency를 논하는 것이 아닌,
이 서비스가 실행되기 위해서 선행단계에서 다른 서비스가 실행되어 있어야하는 강제성이 사라지고
부팅시 단순 소켓만 열어주어 불필요한 서비스까지 실행될 필요가 없다는 뜻 입니다.
또한 C로 구현되었기에 shell-script 방식인 init보다 실행속도도 빠른 편 입니다.
하지만 최근까지 리눅스 외의 시스템으로 이식하기가 힘들다는 제한 때문에 찬반논란이 있었고
(특히 우분투의 경우 비리눅스 기반에서 동작하는 커널이 존재하므로)
상단에 링크한 기사에서 처럼 결국 우분투에서도 systemd를 채택하는 것으로 결론.
*init이 완전히 퇴출 되는 것이 아닌 단순 과도기일 뿐이며 CentOS7과 RHEL 7에서는 default가 아님.
/etc/systemd/system 시스템 어드민 커스텀 파일
/usr/lib/systemd
/usr/lib/systemd/system rpm패키지에 의해 설치된 기본 시스템 파일
- 설정 파일의 이름은 유닛의 이름과 동일합니다.
- 각각 같은 이름의 설정파일이 존재할 경우 우선권은 /etc/systemd/system이 가지게 되니 설정시 참고 바랍니다.
* unit list 출력
systemctl list-unit-files // 모든 정의된 유닛과 status
systemctl list-units // 실행중이거나 실행 될 유닛과 status
*참고링크
1. systemd unit 등록 관련 옵션
http://geekple.com/blogs/feeds/JnlHt/posts/362727031931136
2. systemd에 관한 슬라이드
'기술자료 > 기술운영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Server 2012 원격 데스크탑 세션 제한 해제 방법 (0) | 2016.03.20 |
---|---|
[CentOS] sshfs - 리눅스 윈도우간 데이터 전송을 편리하게 (0) | 2016.03.20 |
403 - 사용 권한 없음: 액세스가 거부되었습니다. 오류 해결법 (1) | 2016.03.20 |
CentOS / RHEL 7 Restart / Stop / Start Networking Command (0) | 2016.03.20 |
RHEL 7.0에서 바뀌는 내용 알아보기 (0) | 2016.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