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RHEL 7.0의 정식 릴리즈가 있었습니다.
Fedora에서 실험되던 사항들이 대거 채택되어 큰 변화를 맞이하게되었는데요
몇번의 포스팅으로 나누어 크게 변화된 사항에 대해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변경점에 대한 전체적인 review가 진행 됩니다.
주요 사항에 대한 세부 내용은 별도 포스팅하여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1. RHEL 7.0부터 3.x 커널을탑재 합니다.
이미 페도라에서 테스트격으로 탑재되어 있었습니다만 이번 새로운RHEL 부터 적용 됩니다.
2. RHEL 7.0 부터는 64bit운영체제만 출시됩니다.
하지만 32bit 어플리케이션용 라이브러리는 제공됩니다.
3. 주요 탑재 소프트웨어 버전
- httpd-2.4.6
- tomcat-7.0.42
- squid-3.3.8
- bind-9.9.4
- mariaDB-5.5.35(mysql은 금번 버전부터 제외 됩니다)
- postgreSQL-9.2.7
- postfix-2.10.1
-sendmail-8.14.7
4. 개발환경
- openJDK-1.7.0.51
- perl-5.16.3
- php-5.4.16
- python-2.7.5
- ruby-2.0.0.353
- GCC-4.8.2
5. Anaconda 변경사항
- install 화면이 미려해 졌습니다.
- fedora의 anaconda UI를채택하였습니다.
- 설치 중 redhat upgradetool을 이용하여 필수패키지 업데이트가 가능 합니다.
- liveimage-creator를 이용하여 커스텀 설치미디어 제작이가능 합니다.
6. boot loader가GRUB2로 변경 되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별도 포스팅예정)
7. Network
- NetworkManager 기능이 강화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wifi, vlan,bonding 등 설정이 가능해졌습니다.
- 기존 설정 방식인 /etc/sysconfig/network-script/ifcfg-*방식의 설정 파일 사용 가능하지만
기존 cmd인 system-config-network, ifconfig가 포함된 net-tools패키지는 더 이상
Default 패키지가 아닙니다.
- 변경된 cmd : nmcli / nm-connection-editor
- NIC 명명 규칙이 변경 됩니다. (bus상 address / firmware에 따른 위치 기준)
Ex) udevd : eno1, enp4s0 /biosdevname : em1, p4p1 등
- NTP를 대체할 PTP 제공(Precision Time Protocol)
8. storage 및 파일시스템
- kernel level에서 iscsi 바로 target 지정 가능해졌습니다.
- xfs 파티션 방식이 default로 변경 됩니다 (기존 ext방식은 여전히 지원 됩니다.)
- btrfs라는 파티션 방식이 실험적으로지원 됩니다.
9. init를 대체할 sytstemd 적용, 아직 default는 아닙니다만
많은 수의 배포판들이향후 변경 예정입니다. (추후 자세한 포스팅 예정 입니다.)
10 보안
- iptables를 대체할 firewalld가 추가 되었습니다. 아직은 병행 사용 가능 합니다.
- Labeled NFS (SELinux 컨텍스트와 연계되는 방식) 지원
- UEFI Secure boot 기능 지원
11. docker 탑재(추후포스팅 예정으로 간단하게 기술하겠습니다.)
- 컨테이너형가상화를 지원하는 오픈소스 엔진
- 기존hypervisor 들이 Guest OS를 통째로 에뮬레이션하는 방식과 다르게
Docker engine을 통해 어플리케이션+바이너리+라이브러리들 만을 가상화하는 방식입니다.
- 따라서 기존 hypervisor들에 비해 자원사용량이 일반 프로세스와비견될 만큼 낮으며 빠릅니다.
- 구글의 서비스들은 이미 docker와 같은 컨테이너형 가상화 기술기반으로 서비스 중
12. 기존 rhel 5.x,6.x의 빌드 역시 지원 되며 금년 중 5.11, 6.6 출시 예정 입니다.
참고사이트 : http://www.slideshare.net/moriwaka/red-hat-enterprise-linux-7
'기술자료 > 기술운영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403 - 사용 권한 없음: 액세스가 거부되었습니다. 오류 해결법 (1) | 2016.03.20 |
---|---|
CentOS / RHEL 7 Restart / Stop / Start Networking Command (0) | 2016.03.20 |
CentOS and RHEL 7: Install Linux, Apache, MariaDB, PHP (LAMP) 설치하기 (0) | 2016.03.20 |
Apache 에서 최대 접속자 수 늘리는 방법 (0) | 2016.03.20 |
KeepAlive의 정의 및 설정 (0) | 2016.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