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기능을 강조하며 출시된 윈도우 서버 8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능들을 살펴보도록 하겠는데요
그 첫번째로 현재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무료로 시범서비스 중인
MS Online Backup Service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존 윈도우에서 제공되던 로컬서버 백업서비스에서 발전한 클라우드 백업 서비스이며
사용자는 마이크로소프트 온라인 백업을 통해 파일과 스토리지 블록레벨에서
변경내용을 추적하고 복사해 스토리지를 백업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현재는 시범서비스로 10GB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공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용방법
1. 서버매니저 대시보드 -> Tools -> Windows Server Backup
혹은
실행 -> wbadmin.msc
2. MS Online Backup Service 홈페이지에 가셔서 계정을 발급받습니다.
발급 신청 후 리턴메일을 회신해야 접속이 가능한데 계정발급처리는 미국 현지 업무시간중
처리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여유있게 기간을 잡아주세요.
3. 리턴메일 회신 후 메일에 기재된 안내에 따라 접근하셔서 로그인 후 패스워드 변경절차를 따릅니다.
4. 백업 에이전트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합니다.
5. 설치하고 나면 시작메뉴에 목록이 생깁니다. 실행해줍니다
6. 에이전트가 실행된 화면입니다. 백업할 서버를 등록해 줍니다.
Action --> Register Server 선택
이전에 등록한 백업계정정보를 입력해줍니다
프록시 정보 입력 부분인데 프록시 사용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넘어가세요.
패스프레이즈 설정 단계입니다.
생성하신 후 Register를 눌러 등록을 진행해줍니다.
등록중입니다.
완료된 후 close를 눌러 과정을 종료 해 줍시다.
등록과정이 완료된 후 에이전트의 화면 모습입니다.
백업스케쥴이 설정되지 않아 해당 부분을 요구하는 경고 메시지가 출력되고 있습니다.
백업 스케쥴 설정부터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7. 스케쥴 백업 마법사가 실행이 됩니다.
백업할 포인트를 지정하는 부분입니다. 추가해줍시다.
백업 시간 설정을 해줍니다.
백업파일 보관기간 설정
7, 15, 30일 설정이 가능한 것으로 보아 대규모 회사보다
중소규모급 회사들에서 활용 가능한 컨셉으로 나온 서비스로 보입니다.
8. 실제로 백업을 수행해 보겠습니다.
백업 수행중
백업과정이 완료되었습니다.
9. 백업을 했으니 이젠 복구를 해볼 차례입니다.
온라인 백업의 장점을 살려 다른 서버에도 복구가 가능합니다.
백업 시점별로 선택 복구가 가능합니다.
복구 수행중
복구과정이 끝나면 설정해준 경로에 백업했던 파일들이 생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극히 제한적인 공간을 제공 중이라 정식 서비스가 런칭되고 나면
MS에서 어떤 정책을 유지할 지 기대가 되고 있습니다만,
윈도우 서버 8의 기본적인 OS 용량등을 고려했을때 10GB라는 제공 공간은
로컬시스템 백업에서 가능한 그것에 비해 다소 아쉬운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클라우드 백업이라는 장점을 잘 살린다면 그 활용도 및 유용함은 매우 크리라 생각됩니다.
< Windows Server 8 둘러보기 >
1. Windows Server 8 설치과정 (http://cafe.naver.com/aonenetworks/198)
2. Windows Server 8 훑어보기 (http://cafe.naver.com/aonenetworks/199)
'기술자료 > 기술운영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서버 2012 출시 (0) | 2016.03.20 |
---|---|
httpd.conf 설명 ( apache 2.x 기준) (0) | 2016.03.20 |
Windows Server 8 Beta 겉보기 (0) | 2016.03.20 |
Windows Server 8 Beta 설치기 (0) | 2016.03.20 |
윈도우 서버 세션 초과로 터미널 접속이 안될때 세션 끊는 방법 (0) | 2016.03.20 |